카테고리 없음

2022년 01/15 창원 정병산-비음산-대암산 연계산행일지

뫼루 2022. 1. 22. 11:50

산행일:2022년 01/15

산행지:경남 창원시 의창구,창원시 성산구,김해시 진례면

산행순서:창원국제사격장주차장-소목고개/우(좌=봉림사)-정병산정상-수리봉-길상사갈림길1/직(우=길상사)-내정병봉-길상사갈림길2/직(우=길상사)-길상사,우곡사갈림길/직(우=길상사,좌=우곡사)-용추정(계곡)갈림길/직(우=용추정)-우곡사,용추7교갈림길/직(우=용추7교,좌=우곡사)-노티재갈림길/우(좌=노티재)-진례산성동문지/직(우=용추계곡)-비음산정상-굴반쉼터갈림길/직(우=굴반쉼터)-내대암봉/직(우=대방체육공원)-대방나들목갈림길/직(우=대방나들목)-대암산정상-평지마을,대방나들목갈림길/직(좌=평지마을,우=대방나들목)-신정봉-삼정자동갈림길/직(우=삼정자동)-용지봉/우-(좌=대청계곡,황새봉)-장유사갈림길/직(좌=장유사)-상점령/우(직=불모산)-불모산교

산행시간: 08:54(점심시간,쉬는시간 포함)

산행거리: 21.31km(두 차례 트랙이 끊김)







07:00


창원국제사격장 주차장

경남 창원시 의창구 퇴촌동 409-1번에 소재하고 있는 곳이다.







주차장은 넓게 잘 조성되어 있고 주차장 입구에는 화장실이 자리하고 있다.






07:21

산행을 시작한다.
Gps상 해발 59m이다.
주차장에서 나와 북방면 포장길을 따라 오른다.







곧 우측 등산로 방향으로 진행한다.







숲속 나들이길 안내도를 훑어보고서 숲속 나들이길 방면으로 진행한다.






사격장 담벼락을 좌측에 두고서 쎼멘길 따라 오른다.
사격장은 전염병 시국에 임시휴업이다.







사격장 담벼락이 끝나고 먼지털이기를 만난다.







직진 방향으로 본격 산문에 든다.







100여m 후 탱크길과 합류하고 정병산약수터 방면으로 오른다.






비포장 수렛길로 오른다.







화장실 지나 오른다.







숲속 나들이길 입구를 지나 오른다.
정병산 정상까지는 1.6km이다.






07:42


약수터를 지난다.







정병산 정상까지는 1.4km이다.







곧 체육시설을 지나 우틀하여 오른다.






07:46


소목고개



안부 사거리이다.
낙남정맥에 접속한다.







좌측은 봉림사 방면길이고 직진은 소목마을 방면길이다.
우틀하여 오른다.
이제부터는 낙남정맥을 따르게 된다.
정병산 정상까지는 1.2km이다.






길은 여전히 넓다.
가파르게 오른다.







원형목재 계단길+자연석 돌계단길+데크계단으로 한치의 에누리도 없이 계속 가파르게 오른다.






08:30


주능에 올라선다.







지척에 있는 좌측의 정병산을 다녀와서 우측 대암산 정상 방면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좌틀하여 30여m 오른다.






08:32


정병산 정상









암릉으로 이루어진 산정답게 사방 풍광이 압권이다.






전체적으로 남방향이다.


이후 진행할 산등성이가 겹겹으로 현란하다.
앞의 내정병봉 뒤로 대암산,용지봉,불모산 등이 뚜렷하다.
송전철탑 무수히 많은 불모산 우측으로는 웅산,시루봉,천자봉이 확연하다.
사진 우측 창원시가지 너머는 안민고개이다.







좌 불모산과 중앙 안민고개,우 장복산이 명징하다.
불모산 우측은 웅산,시루봉,천자봉이고 장복산 좌측은 덕주봉이다.







창원시가지 너머로 온전히 장복산을 주시한다.






서남쪽이다.


무학산 뒤로 대산,광려산 등을 응시한다.






전체적으로 서방향이다.


사진 좌측 멀리는 무학산 뒤로 대산,광려산이고 사진 우측은 천주산이다.
쌍봉 중 좌측은 천주산정상,우측은 천주산상봉,상봉
앞은 천주봉,사진 우측 끝은 작대산이다.
천주산 뒤 멀리 성대한 산릉은 어디일까
지리산이다.






서북쪽 풍경이다.


좌측부터 천주산,작대산,무릉산 등을 조망한다.
사진 우측 앞은 촛대봉이고 사진 가운데 앞은 구룡산이다.







사진 가운데 앞은 백월산,사진 우측 앞은 철새들의 낙원으로 알려진 주남저수지이다.
백월산 우측 뒤 멀리로는 화왕산이 식별된다.






북방향이다.


사진 가운데는 주남저수지이다.
사진 좌측 백월산 뒤로는 화왕산을,사진 우측 덕대산과 종남산 뒤로는 화악산을 관망한다.







사진 가운데 덕대산과 종남산 뒤로 멀리 화악산을 응시한다.






전체적으로 동북쪽 풍경이다.


사진 좌측부터 화악산,덕대산,종남산,중앙부 멀리 천황산,그 우측으로 만어산,구천산,천태산 등을 조망한다.







사진 중앙은 무척산,그 뒤는 토곡산,토곡산 우측 뒤 멀리는 천성산이다.







사진 중앙부 신어산 뒤로는 금정산 고당봉이 첨예하게 솟아 있다.
사진 좌측부터 천태산,무척산,토곡산,천성산,신어산,금정산,상계봉,백양산 등을 감상한다.






전체적으로 동방향이다.

사진 중앙부 신어산 뒤로 금정산,그 우측으로 상계봉,백양산,엄광산,구덕산과 시약산으로 이어지는 낙동정맥 라인을 감상한다.
이곳 낙남정맥에서 낙동정맥을 즐기는 셈이다.
사진 우측 끝 제일 뒤는 구덕산 옆의 승학산이다.







멀리 좌측부터 신어산,금정산,상계봉,백양산,엄광산,구덕산과 시약산,승학산,용지봉 등을 조망한다.







멀리 좌측부터 백양산,엄광산,구덕산과 시약산,승학산,용지봉,대암산,불모산,웅산 등을 감상한다.






결과적으로 말하자면 위의 풍경은 약간의 각도만 바뀔 뿐 마지막 봉우리인 용지봉까지도 내내 함께하게 된다.







올라왔던 주능삼거리로 30여m 되돌아내려 대암산 방면으로 진행한다.







이내 진단쉼터를 지난다.
산행길에 진단받는 쉼터인가
산행길을 진단하는 쉼터인가






잔잔하게 오르내림을 반복한다.







HP를 지난다.






발딛는 어디든 으뜸 전망처가 이어지는 풍광길 진행이다.







한차례 데크계단으로 가파르게 내린다.






짤막 올라 완만히 진행한다.
두번째 데크계단으로 가파르게 내린다.






09:07


대암산 정상7.9km 이정목 앞에서 우회로를 거부하고 능선길로 진행한다.







스텐기둥 밧줄구간 암릉길로 가파르게 오른다.






09:10


수리봉







수리봉에서 사방 풍경을 즐긴다. 






북방향이다.


주남저수지,덕대산과 종남산,그 뒤로 멀리 화악산을 응시한다.







중앙부 멀리 천황산,그 우측으로 구천산,천태산,사진 우측 무척산 뒤로 토곡산,토곡산 우측 뒤 멀리 천성산을 관망한다.






동북쪽 풍경이다.


사진 중앙은 무척산 뒤로 토곡산,그 뒤 천성산,사진 좌측 멀리는 천황산,사진 우측은 신어산 뒤로 금정산 고당봉이 첨예하다.







멀리 사진 좌측부터 무척산,토곡산,천성산,신어산,금정산,상계봉,백양산,엄광산 등을 조망한다.






전체적으로 동방향 풍경이다.


사진 좌측부터 신어산,금정산,상계봉,백양산,엄광산,구덕산과 시약산,승학산 등을 조망한다.







대암산 우측 뒤로 불모산,웅산,시루봉,천자봉 등이 명징하게 바라다보인다.







창원시가지 너머로 온전히 장복산을 목도한다.
좌 덕주봉,우 장복산 정상이다.







사진 좌측은 무학산 뒤로 대산과 광려산,사진 우측은 천주산 정상과 천주산 상봉이 자웅을 겨루고 있는 모습이다.






이어서 가파르게 내린다.
안부 찍고 가파르게 오른다.






09:37


문어발 소나무가 자리한 능선봉을 넘어선다.






잠시 완만히 내린다.






09:39


길상사 갈림길1







현위치는 길상사 위 능선이라고 표기되어 있다.







우측 내림길은 길상사 방면길이다.
직진하여 오른다.
대암산 정상까지는 6.8km이다.






짤막 가파르게 올라 능선봉을 넘어선다.
잠시 완만하더니 가파르게 오른다.






09:46


내정병봉









암봉으로 이루어진 봉우리이다.
주변으로는 평상쉼터가 자리하고 목장승들이 눈길을 잡아끈다.






가파르게 내린다.






09:49


길상사 갈림길2

능선에 체육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우측 내림길은 길상사 방면길이다.
내정병봉을 가운데 두고 양쪽으로 길상사 방면길이 있는 셈이다.
직진하여 진행한다.
대암산 정상까지는 6.4km이다.






스텐기둥 밧줄구간 원형목재 계단길로 가파르게 내린다.






09:57


길상사,우곡사 갈림길

안부 사거리이다.







우측은 길상사 방면길이고 좌측은 우곡사 방면길이다.
직진하여 진행한다.
대암산 정상까지는 6.1km이다.






잠시 오르고 가파르게 내린다.
다시 오르고 완만히 내린다.






10:06


용추정(계곡) 갈림길







우측은 용추정 방면길이다.
직진하여 진행한다.
대암산 정상까지는 5.6km이다.






송림숲 육산길로 완만히 진행한다.






10:10


우곡사,용추7교 갈림길







우측은 용추7교 방면길이고 좌측은 우곡사 방면길이다.
직진하여 오른다.
대암산 정상까지는 5.3km이다.






가파르게 오른다.






10:20


노티재 갈림길







좌측은 노티재 방면길이다.
우틀하여 내린다.
대암산 정상까지는 5.0km이다.






걷기 편안한 육산길로 완만히 진행한다.
재선충 피해 천막더미 4개 지나 가파르게 오른다.






10:38


능선봉에서 대암산 정상4.1km 이정목 지나 좌틀하여 내린다.






완만히 내린다.
안부 지나 가파르게 오른다.
능선봉 넘어 잠시 내리고 안부 찍고 가파르게 오른다.






10:58


돌탑봉을 지난다.






잠시 오른다.
곧 올라서게 된 능선봉에서 빤히 바라다보이는 비음산을 주시하며 민생고를 해결한다.
10여분 후 다시 길을 이어간다.
가파르게 내린다.
안부 찍고 가파르게 오른다.
이어서 완만히 진행한다.
이어서 돌무더기 난무한 산성터 따라 완만히 내린다.






11:23


진례산성 동문지









형태는 안부 사거리이나 현위치는 동문삼거리로 표기되어 있다.







우측 내림길은 용추계곡 방면길이다.
직진하여 오른다.
비음산 정상까지는 0.6km이다.






매트길로 가파르게 오른다.
이어서 데크계단으로 가파르게 오른다.







데크계단이 끝나고 이정목을 만난다.







우측의 비음산을 왕복으로 다녀와서 이곳으로 되돌아와 좌측의 대암산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우틀하여 진행한다.
비음산 정상까지는 0.4km이다.






잠시 낙남정맥을 이탈한다.
400여m 별 어려움 없이 완만히 오른다.






11:37


비음산 정상









너른 평정봉으로 사방 풍광이 거침이 없다. 







이후 진행할 앞의 내대암봉 뒤로 대암산,그 좌측으로 신정봉,용지봉으로 이어지는 산등성이를 살펴본다.
사진 우측 불모산 우측 뒤로는 웅산,시루봉,천자봉이 명징하다.






남방향 풍경이다.


사진 좌측부터 대암산,불모산,웅산,시루봉,천자봉,안민고개 등을 조망한다.







창원시가지 너머로 장복산을 온전히 목도한다.
장복산 정상 좌측은 덕주봉이다.






남서서쪽이다.


멀리 무학산 뒤로 대산,광려산 등을 조망한다.
사진 우측 멀리 성대한 산릉은 지리산이다.






전체적으로 서방향 풍경이다.


사진 좌측은 무학산 뒤로 대산,광려산이고 사진 우측은 천주산 정상과 상봉,작대산이다.
사진 가운데 멀리로는 지리산이 장대하다.






서북쪽이다.


사진 가운데 천주산 정상과 상봉,작대산,무릉산,구룡산 등을 조망한다.
사진 좌측 멀리는 지리산이고 사진 우측 멀리는 가야산이다.







지나온 정병산이 저먼치 물러나 있다.
정병산 좌측 뒤 멀리로는 가야산이,정병산 우측 뒤 멀리로는 화왕산이 희미하다.






북방면이다.


사진 가운데 멀리는 천황산이다.
사진 우측 무척산 뒤로는 구천산,천태산,토곡산,천성산 등을 조망한다.






동북방면이다.


사진 가운데 신어산 뒤로 금정산 고당봉과 상계봉 라인을 관망한다.
사진 좌측은 무척산,무척산 우측 뒤는 토곡산,토곡산 우측 뒤는 천성산이다.






발길을 되돌린다.






11:51


잠시 이탈했던 낙남정맥에 복귀한다.







대암산 정상까지는 2.6km이다.






가파르게 오른다.






11:54


능선봉에 진례산성 표지판과 119소방 이정목이 세워져 있다.
표지판은 창원이고 이정목은 김해이다.
여기는 창원일까,김해일까
서로 지들 땅이라고 난투극을 벌이고 있는 현장이다.






가파르게 내린다.
곧 안부 찍고 가파르게 오른다.
사방 풍광이 황홀한 무명암봉을 넘어선다.
연이어 데크계단으로 가파르게 내린다.
이어서 가파르게 내린다.







HP를 지나 내린다.
내림길 중도에 HP가 뜬금없다.






가파르게 내린다.






12:09


굴반쉼터 갈림길

안부 사거리이다.







우측은 굴반쉼터 방면길이다.
좌측은 이정표시기가 없으나 독도상 진례저수지 방면길이다.
직진하여 오른다.
대암산 정상까지는 1.9km이다.






S자를 그리며 지그재그 가파르게 오른다.
올라서서는 거친 돌길로 진행한다.
또다시 풍광길이 시작된다.







짧은 데크교를 건너 오른다.






그저 평범한 내대암봉을 넘어선다.
이내 갈림길을 만난다.






12:35


내대암봉









우측 내림길은 대방체육공원 방면길이다.
직진하여 가파르게 내린다.
대암산 정상까지는 1.2km이다.






길은 거칠다.
허나 풍광은 그만이다.
암릉길이 끝나고 가파르게 오른다.
능선봉을 넘어선다.
잠시 순탄하더니 다시 가파르게 오른다.






13:01


삼각점봉을 지나 잠시 완만히 진행한다.






13:03


대방나들목 갈림길







우측 내림길은 대방나들목 방면길이다.
직진하여 오른다.
대암산 정상까지는 0.4km이다.






가파르게 오른다.
짧은 데크계단으로 올라 완만히 오른다.
암릉을 우회하여 가파르게 오른다.







대암산 직전에서 이정목을 먼저 만난다.






13:22


대암산 정상









사방 풍광이 환상이다.
행동식을 곁들이며 사방 풍광을 즐긴다. 







지나온 산등성이가 선연하다.
사진 가운데 정병산 뒤로 멀리는 화왕산이다.
사진 좌측은 작대산,무릉산,구룡산,백월산이고 사진 우측은 덕대산과 종남산 뒤로 멀리 화악산이다.







이제껏 걸어온 산릉을 면밀히 살펴본다.
사진 중앙은 덕대산과 종남산 뒤로 화악산이다.







사진 중앙 무척산 뒤로 천황산,만어산,구천산,천태산,토곡산,천성산 등을 관망한다.







멀리 사진 좌측부터 무척산,토곡산,천성산,신어산,금정산,상계봉 등을 조망한다.







곧 올라설 신정봉 뒤로 용지봉을 주시한다.







사진 좌측부터 불모산,웅산,시루봉,천자봉 라인을 탐닉한다.
오래전 거닐었던 추억이 회상된다.






남방향 풍경이다.


사진 좌측은 웅산,시루봉,천자봉이다.
바다 건너 멀리 거제도의 산방산,계룡산,대금산 등이 흐릿하다.
사진 우측 덕주봉 뒤로 멀리로는 벽방산이,그 좌측으로는 통영의 미륵산이 확인된다.







장복산 뒤로 벽방산과 미륵산이 희미하다.







무학산 뒤로 대산,광려산,여항산 등을 조망한다.
무학산 우측 뒤 멀리로는 지리산이 용트림을 할려는 형국이다.






서북쪽이다.


천주산,작대산,무릉산,구룡산,백월산,화왕산,멀리 가야산 등을 감상한다.







정자쉼터와 곧 산불감시초소를 지나 내린다.







좌틀하여 용지봉 방면으로 내린다.
우측은 보나마나 대방나들목 방면일게다.







용지봉까지는 2.5km이다.






가파르게 내린다.






13:50


평지마을,대방나들목 갈림길

안부 사거리이다.







좌측은 평지마을 방면길이고 우측은 대방나들목 방면길이다.
직진하여 오른다.
용지봉까지는 2.1km이다.






가파르게 오른다.
돌탑 군락지를 관통하여 거친 돌길로 오른다.






14:11


신정봉









용지봉까지는 1.4km이다.






가파르게 내린다.
안부 지나 완만히 오른다.






14:26


용지봉0.9km 이정목을 지난다.






잠시 완만하더니 가파르게 내린다.
송전철탑을 지난다.
소규모 편백숲길이 안온하다.






14:31


삼정자동 갈림길







우측은 삼정자동 방면길이다.
직진하여 오른다.
용지봉까지는 0.6km이다.






가파르게 오른다.
이어서 허릿길 오름에 이어 완만하더니 다시 가파르게 오른다.






14:56


용지봉









용제봉 제단과 표지석이 있는 평정봉이다.
이리저리 옮겨다니며 사방 풍경을 살펴본다. 







지나온 대암산 정상부가 펑퍼짐하다.
대암산 좌측 뒤는 무학산,대산,광려산,여항산 등이고 대암산 우측 뒤는 천주산,작대산,무릉산,구룡산 등이다.







지나온 산릉이 확연하다.
용지봉에서 보니 정병산이 뾰족하다.






북방향 풍경이다.


덕대산과 종남산 뒤로 화악산이 흐릿하다.






동북방면이다.


좌측은 무척산이고 우측은 신어산이다.
무척산 뒤는 토곡산이고 신어산 뒤는 금정산이다.
그 가운데 멀리는 천성산이다.






전체적으로 동방향이다.


멀리 좌측부터 천성산,신어산,금정산,상계봉,백양산,엄광산 등을 감상한다.
낙남정맥에서 낙동정맥을 조망하는 셈이다.







좌 굴암산,중앙 화산,우 불모산을 목도한다.






전체적으로 서방향 풍경이다.


장복산 우측 뒤로 무학산,대산,광려산,여항산 등을 조망한다.
사진 좌측 멀리는 거류산과 벽방산 라인이다.







좌측 내림길은 낙남정맥을 이어가는 황새봉,금음산 방면길이다.
이제 낙남정맥과 이별한다.
우틀하여 상점령 방면으로 내린다.






잠시 내린 후 완만히 진행한다.
이어서 완만히 내린다.






15:13


장유사 갈림길

안부 삼거리이다.







좌측 내림길은 장유사 방면길이다.
직진하여 오른다.
윗상점까지는 3.1km이다.






완만히 오른다.







724봉에서 우틀하여 불모산 방면으로 내린다.






가파르게 내린다.
한동안 가파르게 쭉 내린다.
길은 넓어지고 완만히 내린다.






15:43


상점령







우틀하여 차단기를 지나 비포장 수렛길로 내린다.






순탄하게 진행한다.







5분 후 쎼멘길로 내린다.






얼마 지나지 않아 비포장 매트길로 내린다.
이후로도 쎼멘길,매트길은 몇차례 반복된다.






16:02


쎼멘길 커브 지점에서 직진하여 창원터널 방면으로 내린다.






완만히 내린다.






16:13


노둣다리 건너 직진 방향으로 내린다.






16:15


불모산교







창원터널 인근 불모산교 앞 차도에 내려섬으로 산행길을 끝마친다.








이후로도 3.3km 포장도로를 더 걸어 대암삼거리에 당도하고 나서야 택시를 잡아타고 들머리인 사격장 주차장으로 이동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