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일:2021년 05/09
산행지:전북 부안군 변산면,상서면
산행순서:어수대-우슬재/좌-비룡상천봉-성인봉-쇠뿔바위봉(왕복)-어수대
(일 자 back,원점회귀)
산행거리: 5.99km
산행시간: 02:25(쉬는시간,점심시간 포함)
08:50
어수대
이미 쇠뿔바위봉 일지는 여러 편이 있기에 금일 산행은 간략히 쇠뿔바위봉 전망대에서의 조망관만 서술하고자 한다.
09:02
산행을 시작한다.
Gps상 해발 131m이다.
쇠뿔바위까지는 3.0km이다.
완만히 오른다.
이어서 가파르게 오른다.
지능에 올라선다.
독도상 우슬재라는 안부이다.
가파르게 오른다.
첫번째 음택을 만나고 완만히 오른다.
독도상 비룡상천봉을 넘어선다.
완만히 내린다.
잠시 편안한 육산길이 이어진다.
완만히 오른다.
독도상 성인봉을 넘어선다
완만히 내린다.
단체객 밥자리로는 그만인 너른 안부를 지나 오른다.
짤막 가파르게 오른다.
봉분 있는 능선봉을 넘어 가파르게 내린다.
10:09
쇠뿔바위 표지목을 만난다.
우측 내림길은 청림마을,중계교 부근 방면길이다.
전망대 방면으로 진행한다.
10:13
쇠뿔바위 전망대
고래등바위를 내려다본다.
고래등을 타고 내려가야 건너편 쇠뿔바위봉 꼭지에 오를 수 있다.
동남방면이다.
몇 차례 오른 적이 있는 지척의 쇠뿔바위봉을 건너다본다.
그 뒤는 우금산 라인이다.
비범하게 융기한 우금암 뒤는 속살을 훤히 드러낸 주산과 묵방산,그 뒤는 두승산,두승산 뒤는 칠보산 자락이다.
사진 좌측 멀리는 김제 모악산이고 사진 우측 멀리는 내장산과 방장산 라인이다.
동방면이다.
앞의 우금산 라인 너머로 모악산을 응시한다.
송신철탑이 보이더니 시간이 더할수록 더 어두워지는 느낌이다.
동남쪽이다.
내장산과 방장산을 감상한다.
전체적으로 남방향이다.
옥녀봉부터 관음봉까지의 내변산 주능 마루금을 조망한다.
그 뒤는 경수산이고 경수산 좌측은 소요산이다.
좌측 용각봉부터 중앙 관음봉,우측 쌍선봉까지의 라인을 주시한다.
용각봉 뒤는 소요산과 경수산이고 쌍선봉 좌측으로는 월명암이 식별된다.
좌측 관음봉에서부터 우측 쌍선봉까지의 주능 등줄을 감상한다.
남서서쪽이다.
쌍선봉 우측 너머로 멀리 위도를 관망한다.
서쪽에 있는 변산 최고봉으로 군부대가 있는 의상봉을 목도한다.
사진 좌측 끝 멀리는 위도이고 사진 우측 끝 멀리는 고군산군도 일원이다.
서북방면이다.
새만금방조제 뒤로 신시도,무녀도,선유도,장자도,관리도 등의 고군산군도 풍경을 관망한다.
이후는 왔던 길을 따라 그대로 되돌아 내린다.
11:27
어수대
어수대 앞에 내려섬으로 산행길을 끝마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