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021년 03/13 안양 관악산 산행일지

뫼루 2021. 3. 15. 19:25

산행일:2021년 03/13

산행지:경기도 안양시 만안구,서울 관악구

산행순서:용운암입구-문원폭포갈림길/직(좌=문원폭포)-일명사지터-과천향교갈림길1/좌(직=과천향교,우=정부과천청사역)-과천향교갈림길2/좌(우=과천향교)-연주암-서울대갈림길/우(직=서울대,좌=삼막사)-관악산정상(왕복)-서울대갈림길(back)/직(우=서울대,좌=연주암)-HP-제2국기봉/좌(우=8봉능선)-제1국기봉/좌(우=불성사)-국기봉(6봉)/좌(우=관양능선)-산불감시초소-용운암마애승용군-용운암입구
(원점회귀)

산행거리: 7.99km

산행시간: 05:00(쉬는시간,조식시간 포함)







06:10


용운암 입구

인사혁신처국가고시센터와 화학융합시험연구원 과천청사(본원) 사이에 나아있는 길이 출발점이다.







관악산 등산 안내도와 이정목이 세워져 있다.
연주암까지는 2.7km이다.






06:28

산행을 시작한다.
Gps상 해발 100m이다.
철망 사이로 나아있는 좁은 소로길로 진입한다.






06:31


정확히 219m 후 산불감시초소를 만난다.
주변으로는 간이화장실이 자리하고 이정목 등이 세워져 있다.







연주암까지는 2.53km이다.






곧 데크교를 건너고 정자쉼터를 지나 오른다.
완만히 오른다.






06:42


벤치×2개를 지나면서 스텐기둥 밧줄구간 암반길로 오른다.






거친 돌길이 많아지면서 서서히 경사면도 높아진다.






06:54


2단폭포를 내려다보며 데크계단으로 오른다.







데크계단이 끝나고 계류를 가로질러 골짜기를 벗어나 우측 밧줄구간 암반길로 오른다.






06:58


문원폭포 갈림길







좌측은 문원폭포 방면길이다.
물론 문원폭포쪽으로도 연주암(1.7km)으로 오를 수 있다.
직진하여 오른다.
연주암까지는 1.5km이다.






가파르게 오른다.







특이하게도 회양목이 많다.
보길도 격자봉이 생각난다.
격자봉 오름길에도 회양목이 많기 때문이다.






07:03


일명사지터







일명사지터를 지나 오른다.
119소방 이정목에 표기된 연주암까지의 거리는 더 늘어난 셈이다.







그 바로 위에 이정목이 세워져 있다.
직진 방향으로 오른다.
연주암까지는 1.43km이다.






가파르게 오른다.






07:10


과천향교 갈림길1

지능선 안부 사거리에 올라 붙는다.







직진은 과천향교 방면길이고 우측은 정부과천청사역 방면길이다.
좌틀하여 오른다.
연주암까지는 1.35km이다.







청계산 위로 해가 떠오른다.







관악산 정상부 근처 송신소 일대를 올려다본다.






가파르게 오른다.






07:20


길 옆 암반에 올라선다.







관악산 정상부가 한층 가까이 다가와 있다.







청계산을 조망한다.







풍광을 즐기며 오르는 암릉길 진행이다.






07:32


과천향교 갈림길2







우측 내림길은 과천향교 방면길이다.
좌틀하여 오른다.
송신소까지는 1.1km이다.






가파르게 오른다.






07:47


두꺼비바위를 지난다.







송신소까지는 0.6km이다.






능선길을 벗어나 허릿길에 이어 가파르게 내린다.







연주암 절골로 들어선다.






07:57


연주암







이른 시간인지라 아직까지는 한가로운 모습이다.
조금 있으면 산객들로 북적거릴 것이다.

연주암 아랫쪽은 수년 전 내려갔던 과천향교 방면길이다.
연주암 뒤편 데크계단으로 가파르게 오른다.






08:05


서울대 갈림길

주능선 안부 사거리이다.







직진은 서울대 방면길이고 좌측은 삼막사 방면길이다.
우측의 연주대를 다녀와서 좌측의 삼막사 방면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우틀하여 오른다.
역주대까지는 0.5km이다.






암릉길로 가파르게 오른다.







기상레이더 우측으로 내린다.






08:13


데크전망대에서 목전의 연주대를 올려다본다.






08:16


관악산 정상









삼각점이 재설되어 있는 지점에서 사방 풍경을 살펴본다.







북방향 풍경이다.







청계산을 응시한다.







지척의 가상레이더와 송신소 철탑이 난무한 주능선 풍경을 담아본다.
사진 우측 멀리는 서남쪽 수리산이다.







삼성산 라인을 살펴본다.







정상 주변 풍경이다.






올라왔던 서울대 갈림길이 있는 안부 사거리로 발길을 되돌린다.






08:40


서울대 갈림길(back)







우측은 서울대 방면길이고 좌측은 올라온 연주암 방면길이다.
직진하여 삼막사 방면으로 오른다.






데크계단으로 가파르게 오른다.






08:47


팔봉능선2km 방면으로 진행한다.






가파르게 오른다.






08:54


HP







HP 좌측 위 암반에 자리를 잡고서 민생고를 해결한다.







송신소를 탐색한다.







연주암과 그 위 정상부 일대를 감상한다.






09:16

조식 후 재출발







HP를 관통하여 내린다.






가파르게 내린다.
다시 가파르게 오른다.






09:27


길 옆 암반 조망처에 올라선다.







앞의 실랄한 8봉능선 우측 뒤로 삼성산을 주시한다.







풍광을 즐기는 조망처는 도처에 즐비하다.






잔잔하게 오르내림을 반복한다.
다시 가파르게 오른다.






09:47


제2국기봉







8봉능선 갈림길이 있는 봉우리이다.
한마디로 8봉능선이 시작되는 지점이다.






잠시 다리쉼을 하며 풍경을 살펴본다.







선연한 지나온 길과 송신소 일대를 올려다본다.







진행할 방향인 국기봉을 응시한다.







삼성산을 조망한다.






우측 내림길은 8봉능선 방면길이다.
좌틀하여 내린다.
다시 오르고 무명암봉을 넘어 다시 내리고 오른다.
기암과 분재소나무를 감상하며 진행하는 풍경길의 연속이다.






10:05


무명암봉에 올라 불성사를 내려다본다.
그 너머는 삼성산이다.







불성사 우측 위로 8봉능선이 생생하다.
그 너머는 삼성산이다.






10:10


제1국기봉







선바위와 119소방 이정목 옆 소화기가 인상적이다.
우측은 불성사 방면길이다.
좌틀하여 내린다.






안부 찍고 가파르게 오른다.






09:16


국기봉(6봉)









국기봉 아래 데크전망대에 내려선다.







진행할 6봉능선 너머로 청계산을 조망한다.







앞의 관양능선쪽에서도 많은 산객들이 오르내리고 있다.
사진 가운데 멀리 흐릿한 산릉은 수리산이다.
육안으로는 태을봉 뒤로 슬기봉이 포개져 있고 그 우측 올돌한 수암봉이 확인된다.







삼성산을 조망한다.






이제 본격 하산길이다.
가파르게 내린다.
곧 물개바위를 지나 내린다.
안부 찍고 가파르게 올라 독도상 연습바위를 우측으로 우회하여 가파르게 내린다.
결국 6봉능선을 벗어나게 된다.
가파르게 내려서서는 완만히 내린다.
잠시 순탄하더니 완만히 오른다.






11:07


산불감시초소






산불감시초소 옆 암반에 올라선다.







지나온 좌 국기봉과 우 송신소를 올려다본다.







건너편 올라갔던 등산길을 살펴본다.






가파르게 내린다.






11:21


용운암 마애승용군을 지나 내린다.
조각되어 있는 스님얼굴의 모습이 특이하다.






11:23


산행 초입에어 만났던 간이화장실 뒤편으로 내리게 된다.






이후는 back 구간이다.






11:28


용운암 입구







용운암 입구에 내려섬으로 산행길을 끝마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