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021년 02/20 문경 막장봉-장성봉 산행일지

뫼루 2021. 2. 22. 20:01

2021년 02/20

산행지:경북 문경시 가은읍,충북 괴산군 칠성면

산행순서:제수리재-투구봉-막장봉-절말갈림길/직(좌=절말)-장성봉(왕복)-제수리재
(일 자 back,원점회귀)

산행거리: 9.94km

산행시간: 07:22(쉬는시간,점심시간 포함)







09:45


제수리재

사진은 남쪽으로 괴산군 청천면 방향이다.






09:55

산행을 시작한다.
여기 제수리재에서 백두대간 장성봉까지 왕복으로 다녀올 계획이다.







제수리재는 해발 530m이다.







북방향 칠성면쪽으로 산문이 열려 있다.







산문 입구에 속리산국립공원 안내도와 이정목 등이 세워져 있다.







막장봉까지는 3.6km이고 장성봉까지는 4.8km이다.






곧장 가파르게 오른다.






10:12


정확히 520m 후 첫번째 능선봉 직전에서 이빨바위를 만난다.







이빨바위를 탐닉한다.
볼수록 신기하다.







이빨바위 옆에 속리12-01 119소방 이정목이 세워져 있다.






짧은 허릿길에 이어 가파르게 오른다.
능선봉 지나 내린다.
안부 찍고 다시 가파르게 오른다.






10:31


속리12-02 119소방 이정목이 세워져 있는 능선봉을 지나 내린다.






안부 지나 가파르게 오른다.






10:43


속리12-03 119소방 이정목이 세워져 있는 능선봉을 지나 짤막 가파르게 내린다.






안부 찍고 다시 가파르게 오른다.






10:50


막장봉1.8km,장성봉3.0km 이정목 지나 가파르게 오른다.






막바지는 급치받이다.






10:56


투구봉







투구봉은 해발 746m 지점으로 속리12-04 119소방 이정목이 세워져 있다.







투구봉은 거대한 암봉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방 풍광을 즐기며 민생고를 해결한다.







남쪽 지근의 대야산이 뿌옇다.







북쪽으로 가까이 있는 칠보산도 짙은 미세먼지의 결집으로 멀겋다.
칠보산 우측은 덕가산 산릉이다.






서북쪽이다.


좌 남군자산과 우 군자산이 먹먹하다.






11:36

민생고 해결 후 재출발

급내리받이 후 안부 찍고 가파르게 오른다.
무명봉을 우회하여 급내리받이다.
안부 찍고 가파르게 오른다.
올라서서는 잠시 완만하더니 급치받이다.






12:00


일명 천지바위라 불리우는 암릉 전망처에 올라선다.







속리12-06 119소방 이정목이 세워져 있는 곳이기도 하다.







천지바위는 분화구바위,의자바위라고도 불리운다.
이떻게 부르든 그건 보는이의 몫이다.
보는이에 따라 다가오는 감정이 다르기 때문이다.
천지바위 뒤 편 저 너머는 대야산이다.







천지바위를 지나면서 철난간대가 설치된 암릉길 진행이다.
짧지만 강렬하다.







이후 올라설 막장봉을 주시한다.
그 우측 뒤는 백두대간 장성봉이다.






가파르게 오른다.
능선봉 넘어 내린다.







곧 암반 조망처에 내려선다.







덕가산과 백두대간 악휘봉을 음미한다.







올라설 막장봉을 올려다본다.







앞의 백두대간 곰넘이봉 뒤로 둔덕산을 조망한다.







밧줄구간 암릉길 급내리받이다.






안부 찍고 가파르게 오른다.






12:20


막장봉1.0km 이정목 지나 가파르게 내린다.







직벽의 밧줄구간 급내리받이 후 안부 찍고 가파르게 오른다.






밧줄구간 급치받이다.

오름길 중도에 풍경을 살펴본다.







멀리 좌측부터 둔덕산,조항산,대야산,중대봉 등을 관망한다.
사진 좌측 앞은 백두대간 곰넘이봉과 미륵바위이다.







군자산을 응시한다.






가파르게 오른다.
무명 암봉 넘어 가파르게 내린다.







내림길 중도에 정면 앞으로 댐바위를 목도한다.
그 우측 위는 곧 올라설 막장봉이다.






가파르게 내린다.






12:44


안부에 속리12-07 119소방 이정목 지나 오른다.






12:47


댐바위 상단을 지나 가파르게 오른다.






미로 같은 석문을 통과하여 가파르게 오른다.






12:54


코끼리바위를 지나 가파르게 오른다.






13:07


막장봉







산정의 조망은 식생들의 분포로 밝지가 않다.
코 앞의 잡목들 너머로 바윗덩의의 대가 희양산을 바라볼 뿐이다.







장성봉1.2km 방면으로 진행한다.






가파르게 내린다.
이어서 밧줄구간 급내리받이다.






13:18


절말 갈림길







속리11-09 119소방 이정목이 세워져 있는 안부 삼거리이다.







좌측은 쌍곡휴게소가 있는 절말 방면길이다.
직진하여 오른다.
장성봉까지는 1.0km이다.






급치받이다.
능선봉 넘어 내린다.
안부 지나 가파르게 오른다.






13:27


백두대간에 접속한다.







좌측은 백두대간을 이어가는 악휘봉 방면길로 출입금지 구간이다.






우틀하여 허릿길로 진행한다.
이제부터 장성봉까지는 백두대간 금줄 진행이다.






13:31


속리11-10 119소방 이정목 지나 내린다.






잠시 완만하더니 가파르게 오른다.
능선봉 지나 완만히 내리고 완만히 오른다.
이어서 짤막 순탄하더니 다시 가파르게 오른다.






13:44


능선봉에 세워져 있는 장성봉0.5km 이정목 지나 내린다.






안부 지나 가파르게 오른다.







장성봉 직전에 속리11-11 119소방 이정목을 먼저 만난다.






13:53


장성봉







이정목 우측 내림길은 버리미기재로 떨어지는 백두대간 비탐구간이다.







산정 주변을 탐색하며 잠시 목축임과 다리쉼을 즐긴다.






이후는 올라왔던 길을 따라 그대로 되돌아 내린다.






되돌아오는 길에 투구봉에서 다리쉼을 핑계로 다시 한번 풍경을 즐긴다.






동남남쪽이다.


둔덕산을 조망한다.
둔덕산 앞은 백두대간 비탐구간인 미륵바위와 곰넘이봉이다.






전체적으로 남방향 풍경이다.


좌측부터 둔덕산,조항산,대야산,중대봉 등을 탐미한다.
사진 좌측 앞은 백두대간 곰넘이봉과 미륵바위이다.







좌측 앞의 대야산과 우측 뒤의 백악산을 주시한다.
그 가운데 뒤로 멀리 속리산의 주능 마루금이 육안에 든다.
좌측부터 천왕봉,비로봉,신선대,문장대,관음봉,묘봉 등이 식별된다.






서남방향이다.


좌 백악산과 그 우측 가무낙도 너머로 금단산 등을 더듬어본다.







좌 남군자산과 우측 뒤 군자산을 조망한다.






서북방향이다.


좌 군자산과 우 칠보산을 주시한다.






북방향이다.


좌 칠보산과 우 덕가산을 목도한다.






17:17


제수리재







제수리재에 내려섬으로 산행길을 끝마친다.